질병관리청,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 중요”
페이지 정보
본문
질병관리청,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 중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10-29 09:53:30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회복과 사회 복귀를 위해 발병 초기 집중재활치료와 직업 재활, 운전 복귀 교육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9일 뇌졸중 환자의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재활치료가 일상생활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표했다.
고령화의 가속에 따라 뇌졸중 발생은 지난 2012년 9만 명에서 2018년 11.3만 명으로 증가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사망률은 2012년 10만 명 중 51.1명에서 2018년 44.7명으로 감소했지만 후유장애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초기 치료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뿐만 아니라 장애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에 따르면 뇌졸중 발병 후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은 퇴원 시점 72.3%에서 발병 3년 시점 26.6%로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감소했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9일 뇌졸중 환자의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재활치료가 일상생활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표했다.
고령화의 가속에 따라 뇌졸중 발생은 지난 2012년 9만 명에서 2018년 11.3만 명으로 증가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사망률은 2012년 10만 명 중 51.1명에서 2018년 44.7명으로 감소했지만 후유장애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초기 치료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뿐만 아니라 장애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에 따르면 뇌졸중 발병 후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은 퇴원 시점 72.3%에서 발병 3년 시점 26.6%로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감소했다.
▲ 뇌졸중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 기능 변화. ⓒ질병관리청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및 인지기능은 발병 후 18개월까지 지속적으로 호전되나 65세 이상의 경우 발병 2년 이후에는 기능이 저하됐다.뇌졸중 환자의 초기 입원 중 집중재활치료 여부가 발병 3개월 시점에서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였으며 발병 3개월 시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은 이후 3년까지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회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뇌졸중 발병 초기부터 집중재활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직업을 가지고 있던 뇌졸중 추적환자 중 기능적 독립성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환자 933명의 직업 복귀를 추적한 결과 560명의 환자(60%)가 발병 6개월 후 직업으로 복귀했다.
고용과 직업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뇌졸중 환자가 다시 직업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은 재활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며 직업 복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업재활과 함께 뇌졸중 환자의 직업 복귀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뇌졸중 발병 전 운전을 했고 발병 1년 후 인지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 뇌졸중 환자 620명 중에 다시 운전을 하게 된 경우는 410명으로 66.1%의 운전 복귀율을 보였다.
운전 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남성, 저연령, 높은 운동기능 수준, 발병 7일째의 낮은 뇌졸중 중증도, 운전 복귀 교육을 받은 경우이며 이에 해당하는 환자는 운전 복귀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뇌졸중 이후 다시 운전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사회 활동 및 일상적 활동 등 환자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운전 복귀 교육 등 재활 교육이 중요하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뇌졸중 환자의 초기 집중재활치료, 직업재활 및 운전 복귀 교육으로 뇌졸중 환자들의 장애를 개선하고 삶의 질 증진과 사회 복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를 적극 권고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백민 기자 (bmin@ablenews.co.kr)
- 이전글발달장애 학생 감각언어로 표현하기의 중요성 20.11.02
- 다음글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 시각장애인 전용 업무지원시스템 오픈 20.10.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