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 개소 > 복지정보 | 성민복지관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확대

    확대

  • 축소

    축소

  • 복지정보

    성민복지관에서 유익한 복지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서울시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 개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성민복지관
    댓글 0건 조회 3,826회 작성일 20-07-03 15:26

    본문

     

    서울시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 개소

    전국 최초, 9월 운영…뇌병변장애 특화 AAC 제공 등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7-02 11:30:46

    서울시가 의사소통이 곤란한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를 오는 9월 전국 최초로 개소한다.ⓒ서울시 에이블포토로 보기 서울시가 의사소통이 곤란한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를 오는 9월 전국 최초로 개소한다.ⓒ서울시
    서울시가 의사소통이 곤란한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를 오는 9월 전국 최초로 개소한다고 2일 밝혔다.

    박원순 시장 취임 초기부터 뇌병변 장애인을 비롯한 여러 장애인 인권단체가 장애인의 의사소통 어려움 해소와 권익 향상을 위해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지속 요청해 왔다.

    특히 뇌병변장애인은 뇌졸중, 뇌손상, 뇌성마비 등 뇌의 기질적 손상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워 경제활동과 사회참여에 현저한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서울시는 장애계의 의견을 수렴해 2018년 1월에 ‘서울특별시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 증진 및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구체적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 설치를 위해서 2018년 9월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5개년 계획’, 2019년 3월 ‘장애인 인권증진 기본계획’, 2019년 9월 ‘뇌병변장애인 지원 마스터플랜’ 등 시 장애인 기본정책에 명문화했다.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지원받을 주요대상은 뇌병변장애인 등 의사소통에 곤란을 겪고 있는 장애인 17만5331명으로 서울시 전체 등록장애인 39만4638명의 44.4%에 해당한다. 특히 뇌병변 장애인 등 4만여 명을 위한 특화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의사소통 권리증진센터는 ‘서울특별시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증진에 관한 조례’에 따라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 증진을 위한 수단의 개발·보급과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 증진 인식개선 교육,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 증진 네트워크 구축, 권리증진 사업의 컨설팅 등의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당사자가 개별 의사소통방법을 활용해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네트워크 허브’의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민간위탁을 통해 장애인 복지단체, 비영리 민간단체 등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장애인 관련 단체(기관)이 운영할 계획이며, 수탁기관은 오는 7일부터 29일까지 공개 모집해 8월 중 장애인분야 전문가의 엄정한 심사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선정한다.

    선정된 법인은 올해 9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장애인 의사소통 권리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공모대상은 서울시에 주사무소가 있으며 공고일 기준, 서울에 사업장을 소유․임차하고 있거나 소유·임차를 예정 중인 비영리법인(단체)으로 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종합적인 전문성을 토대로 장애 유형에 맞는 의사소통 컨설팅이 가능하고 보완대체 의사소통 서비스 제공기반(시설, 장소)을 보유한 법인 또는 단체이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전국 최초로 설치하는 장애인 의사소통권리 증진센터는 모든 장애인들이 당당한 시민으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라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