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전 공사, 남북동행 장애인단체 교류방안 제시
페이지 정보
본문
태영호 전 공사, 남북동행 장애인단체 교류방안 제시
장애인최고지도자포럼 강연 통해…수어통일, 소통창구 단일화 등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8-11-09 13:56:28
태영호 전 주영 북한대사관 공사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에 흐르는 평화기류에 발맞춰 장애계 최고지도자들에게 남북 수어 통일, 소통창구 단일화 등 남북동행을 위한 장애인단체 교류방안을 제시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한국장총)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개최한 ‘장애인최고지도자포럼’에서다.
이날 태 전 공사는 초청 강사로 나서 “남북동행을 위한 북한장애인 바로 알기와 교류 방안”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태 전 공사는 2012년 런던장애인올림픽에 북한 장애인선수단을 최초로 참가시키고, 2015년 북한 장애인예술단을 국제행사에 참가시키는 등 북한 장애인들을 국제무대에 직·간접적으로 데뷔시킨 경험을 가지고 있다.
태 전 공사에 따르면 북한의 장애인정책은 1950년대 시작됐다. 한국전쟁 후 영예군인(전쟁상이군인)에 대한 정부차원의 보호에서부터 장애인정책을 시작, 선천적 장애인보다 후천적 장애인에 대한 보호가 먼저 시작된 것이 특징이다. 당시 영예군인에 대한 보상이 풍부했기에 장애인이지만 영예군인과 결혼하려는 여성들이 줄을 섰다.
하지만 60년대 들어 주체사상이 보급되면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정책이 평양으로부터 시작됐다. 장애인들은 1선 도로에 다닐 수 없고 지방으로 이주하게 됐다. 이로써 북한에는 장애인이 없다는 말까지 나오게 됐다.
1990년대 말 북한의 장애인정책의 또 하나의 변화가 나타났다. 계기는 아이러니하게도 고난의 행군이었다.
유럽연합에서 대북지원정책의 조건으로 각 분야별 비정부단체들의 지원을 받을 것을 요구했고 북한은 이를 위해 조선불구자지원협회(현 조선장애자보호연맹)를 급히 결성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의 장애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처음으로 통계가 생산되기도 했다.
북한은 장애자보호법, 사회보장법 등에서 장애인에 대한 복지를 규정하고 2013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에 서명하는 등 제도적으로는 장애인복지 사회를 지향하고 있지만 현실적 이행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편의시설의 부족으로 각종 사회기반시설에 장애인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국제 사회에서 정상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장애인올림픽에 장애인선수단을 출전시키고 장애인전용주차장을 만드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한국장총)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개최한 ‘장애인최고지도자포럼’에서다.
이날 태 전 공사는 초청 강사로 나서 “남북동행을 위한 북한장애인 바로 알기와 교류 방안”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태 전 공사는 2012년 런던장애인올림픽에 북한 장애인선수단을 최초로 참가시키고, 2015년 북한 장애인예술단을 국제행사에 참가시키는 등 북한 장애인들을 국제무대에 직·간접적으로 데뷔시킨 경험을 가지고 있다.
태 전 공사에 따르면 북한의 장애인정책은 1950년대 시작됐다. 한국전쟁 후 영예군인(전쟁상이군인)에 대한 정부차원의 보호에서부터 장애인정책을 시작, 선천적 장애인보다 후천적 장애인에 대한 보호가 먼저 시작된 것이 특징이다. 당시 영예군인에 대한 보상이 풍부했기에 장애인이지만 영예군인과 결혼하려는 여성들이 줄을 섰다.
하지만 60년대 들어 주체사상이 보급되면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정책이 평양으로부터 시작됐다. 장애인들은 1선 도로에 다닐 수 없고 지방으로 이주하게 됐다. 이로써 북한에는 장애인이 없다는 말까지 나오게 됐다.
1990년대 말 북한의 장애인정책의 또 하나의 변화가 나타났다. 계기는 아이러니하게도 고난의 행군이었다.
유럽연합에서 대북지원정책의 조건으로 각 분야별 비정부단체들의 지원을 받을 것을 요구했고 북한은 이를 위해 조선불구자지원협회(현 조선장애자보호연맹)를 급히 결성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의 장애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처음으로 통계가 생산되기도 했다.
북한은 장애자보호법, 사회보장법 등에서 장애인에 대한 복지를 규정하고 2013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에 서명하는 등 제도적으로는 장애인복지 사회를 지향하고 있지만 현실적 이행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편의시설의 부족으로 각종 사회기반시설에 장애인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국제 사회에서 정상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장애인올림픽에 장애인선수단을 출전시키고 장애인전용주차장을 만드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태 전 공사는 장애인올림픽에 참가하기로 어렵게 결정됐으나 나갈 선수가 마땅치 않았다는 이야기, 평양을 돈 들이지 않고 세계적인 수준에 맞는 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제안하라는 특명을 받고 장애인전용주차장을 만들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가 무산되었다는 이야기 등 이전에 알기 어려웠던 북한 장애인의 실태와 생생한 에피소드를 전했다.
특히 “통일 이후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북한의 문화를 인정하면서 대화를 시도하고 북한 장애인단체와 교류하기 위해 민간단체의 창구 단일화, 남북 수어 통일 등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북한 내에서 장애인들 역시 소수계층이며 취약계층인 장애인들부터 남북교류를 활성화한다면 서로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남북 화해의 속도를 앞당기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태 전 공사는 “그간 한국에서 남북관계 및 정치 관련 강의는 많았으나 소수자의 인권과 관련된 주제는 처음으로 강연을 진행한다”며 “남한 장애인단체와 첫 상봉인 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어 기쁘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강연이 끝난 뒤 태 전 공사의 저서 “3층 서기실의 암호” 사인회가 진행됐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특히 “통일 이후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북한의 문화를 인정하면서 대화를 시도하고 북한 장애인단체와 교류하기 위해 민간단체의 창구 단일화, 남북 수어 통일 등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북한 내에서 장애인들 역시 소수계층이며 취약계층인 장애인들부터 남북교류를 활성화한다면 서로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남북 화해의 속도를 앞당기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태 전 공사는 “그간 한국에서 남북관계 및 정치 관련 강의는 많았으나 소수자의 인권과 관련된 주제는 처음으로 강연을 진행한다”며 “남한 장애인단체와 첫 상봉인 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어 기쁘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강연이 끝난 뒤 태 전 공사의 저서 “3층 서기실의 암호” 사인회가 진행됐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권중훈 기자 (gwon@ablenews.co.kr)
- 이전글초록여행, 장애인가정 ‘크리스마스&새해여행’ 지원 18.11.12
- 다음글아쉬운 KBS2 ‘볼 빨간 당신’ 휠체어 체험 18.11.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